우리 시대의 성자, 하늘의 품으로 돌아가다
2025년 4월 21일, 전 세계는 깊은 슬픔에 잠겼습니다.
제266대 교황 프란치스코, 본명 호르헤 마리오 베르고글리오(Jorge Mario Bergoglio).
그분이 바티칸 시국의 교황궁에서 향년 88세로 선종하셨다는 소식이 전해졌습니다.
그는 단지 가톨릭의 최고 지도자가 아니었습니다.
소외된 이들의 벗이었고, 평화의 사도였으며, 사랑과 겸손으로 세상을 변화시킨 인물이었습니다.
1. 겸손의 여정, 아르헨티나에서 바티칸까지
1936년 아르헨티나 부에노스아이레스에서 이탈리아계 이민자의 아들로 태어난 그는
청년 시절 화학 기술자로 일했습니다. 하지만 신앙의 부름을 따라 예수회에 입회하여 사제의 길을 걷게 됩니다.
2001년 추기경에 임명된 그는 2013년 3월,
교황 베네딕토 16세의 사임 이후 역사상 최초의 남미 출신 교황으로 선출됩니다.
그는 '가난한 이들의 수호자'인 성 프란치스코의 이름을 택했습니다.
“교회는 ‘권력의 상징’이 아니라, 상처 입은 이들을 위한 ‘야전병원’이어야 합니다.” – 교황 프란치스코
2. 최초의 행보.
프란치스코 교황은 2013년 로마 인근 소년원에서 소년원생 12명의 발을 씻겨주는 세족식을 진행했습니다.
그들 중에는 두 명의 여성과 두 명의 무슬림이 포함되어 있었습니다.
카톨릭 남성만을 대상으로 하던 세족식 관습을 깬 것이었습니다.
같은 해 방송 기자회견에서는 동성애에 대한 포용적 시각을 드러냈습니다.
그는 '동성애자가 선한 의지로 신을 찾는다면 누가 그를 심판할 수 있겠느냐'고 말했습니다.
교리와 배치된다며 그를 비판하는 목소리가 있었지만
그는 카톨릭 사제가 동성애 커플을 축복할 수 있게 허용하는 등 소신을 굽히지 않았습니다.
또한 여성을 처음으로 교황청 장관에 임명하기도 했습니다.
사회적 합의를 이뤄내기 어려운
낙태,재혼자에 대한 성체성사 허용, 성직자의 독신의무 등에 대해서도 진보적 입장을 밝히기도 했습니다.
3. 잊을 수 없는 순간, 2014년 대한민국 방문
2014년 8월, 교황은 대한민국을 방문했습니다. 요한 바오로 2세 이후 25년 만의 방한이었습니다.
그는 세월호 유가족과 생존 학생등을 직접 면담했습니다. 일부 유가족에게는 직접 세례했습니다.
" 세월호 침몰이라는 비극적인 사건을 통해 모든 한국 사람이 슬픔 속에 하나가 됐다."
그는 공동선을 위해 연대하고 협력하는 국민들의 헌신적인 모습을 확인할 수 있기를 바란다고 당부했습니다.
🕊️ 광화문 시복식 – 순교자의 피 위에 선 교회
서울 광화문에서 열린 124위 순교자 시복식에는 수십만 명이 운집했습니다.
교황은 “한국 교회는 순교자의 피 위에 세워졌습니다”라는 말로 그 신앙을 기렸습니다.
🚗 기아 '쏘울'을 탄 교황
교황은 방한 기간 동안 기아자동차의 소형차 '쏘울(Soul)'을 이용해 세계인의 이목을 끌었습니다.
겸손한 그의 태도는 많은 이들에게 깊은 울림을 주었습니다.
👨🎓 청년과의 대화 – “희망은 여러분 안에 있습니다”
대전에서 열린 아시아 청년대회에서, 그는
“희망은 젊은이들 안에 있으며, 세상은 여러분을 통해 새로워질 것”이라며 청년들을 격려했습니다.
3. 『희망(Hope)』 – 교황의 마지막 고백
프란치스코 교황이 6년간 직접 집필한 《희망》은 역사상 최초의 교황 자서전으로
전 세계 100개국 이상에서 동시 출간되어 큰 주목을 받았습니다.
교황은 ‘희망’이라는 삶에서 가장 귀하게 여기는 가치를 다채로운 에피소드와 함께 조명하며,
힘든 시기를 겪고 있는 많은 이들에게 힘과 위로, 용기를 건넸습니다.
☘ 어린 시절, 신의 섭리
자서전에는 조부모님이 침몰 예정이던 배 대신 우연히 다른 배를 타게 되었다는 일화가 소개됩니다.
그는 이를 “하느님의 개입”이라 고백하며, 삶 전체를 은총으로 여깁니다.
🙏 “나는 완전하지 않다”
그는 반복해서 “나는 완전하지 않다”는 표현을 씁니다.
이는 자신의 부족함을 인정하며, 겸손한 신앙인의 자세로 우리 모두에게 깊은 울림을 줍니다.
4. 하늘로 돌아가신 교황 – 그가 남긴 유산
교황 프란치스코는 “나의 장례는 소박하게 해 달라”는 유언을 남겼습니다.
이에 따라 산타 마르타 숙소 예배실에서 마지막 인사를 받았습니다.
그가 남긴 것은 사치스러운 유산이 아니라,
가난한 이들과 함께한 삶, 전쟁보다 평화를 외친 목소리, 그리고 사랑의 언어였습니다.
이제, 우리가 그를 위해 기도드릴 차례입니다. 그의 미소와 온기는 인류의 가슴속에 오래도록 남아 있을 것입니다.
🙏 R.I.P. Pope Francis (1936–2025)
그분의 생애와 신앙에 깊은 감사와 경의를 바칩니다.
'시선집중'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알박기 인사'의 민낯 (0) | 2025.04.23 |
---|---|
사법 정의는 어디로? 대한민국 사법 신뢰도 추락과 ‘판사 특권’의 민낯 (2) | 2025.04.23 |
💸 스테이블코인 vs CBDC 비교 분석 – 디지털 통화 시대의 두 얼굴 (0) | 2025.04.20 |
🌐 CBDC, 금융의 미래인가 통제의 시작인가 – 미국의 이탈과 한국의 대응 (2) | 2025.04.19 |
4.19 혁명 - 민주주의를 향한 불꽃 (1) | 2025.04.19 |